티스토리 뷰

 

발바닥 통증 원인은 다양하고 통증 부위에 따라 불리는 명칭도 다릅니다. 특히 발 뒤꿈치 안쪽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신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경우 운동화나 신발, 깔창, 보조기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원인과 치료법을 통해 치료를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발바닥 통증 원인의 대표적인 족저근막염의 증상과 치료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 증상

000

족저근막염 증상이란 발을 내디딜 때 발꿈치 부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발바닥 부분 중 통증 부위는 발꿈치이며 아침에 일어나서 발을 처음 디딜 때 발뒤꿈치 부분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족저근막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셔야 하는데요 발꿈치 뼈에서 부터 발가락까지의 근육을 둘러싸고 있는 섬유막이 바로 족저근막입니다. 족저근막은 신체활동을 하거나 걷거나 뛸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이 부분에 지속적으로 충격이 가해 지거나 노화로 발바닥 근육의 힘이 약화되어 족저근막에 무리가 오게 되면 족저근막염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하며 활동량이 늘어나거나 오래 서있을 경우 통증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 7가지 

1. 아침에 일어나서 발을 땅에 디뎠을 때 발바닥에 통증이 느껴진다.

2. 오랜 시간 앉아있다가 일어났을때 발바닥에 통증이 느껴진다.

3. 발의 통증이 시간이 지나면 호전된다.

4. 장시간 서있거나 활동을 하게되면 발이 욱신거린다.

5. 뒤꿈치 통증이 심해서 발 앞부분으로 걷는 경우가 있다.

6. 바닥이 딱딱한 신발을 신었을 경우 통증이 더 심해진다.

7. 복사뼈, 발가락에는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다.

족저근막염 치료법

족저근막염 증상 스트레칭

족저근막염은 보존적 치료로 증상 개선이 가능합니다. 꾸준한 스트레칭을 하거나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 발바닥의 충격을 줄여주는 신발을 신는 등 생활습관을 개선한다면 족저근막염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증상을 완화시키는 스트레칭

- 의자에 앉아 한 쪽 발을 잡고 발가락을 최대한 발등 쪽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을 합니다.

- 천장을 보고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위로 길게 뻗어 발바닥을 천장을 향하도록 합니다.

- 수건을 바닥에 깔아놓고 그 위에 올라서서 발가락으로 수건을 움켜 잡는다는 느낌으로 수건을 당겨줍니다. 

족저근막염 보조기 사용

족저근막염 보조기를 사용해 밤사이에 족저 근막을 스트레칭된 상태로 유지시켜 놓습니다. 이렇게 보조기를 착용하고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점점 완화되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보조기 착용은 적어도 2~3개월 정도는 꾸준히 착용해야 완치가 가능하므로 매일 끼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족저근막염 테이핑 요법

통증이 갑자기 심해질 경우 족저근막 근처를 테이핑을 하면 통증이 완화되기도 합니다. 실리콘으로 된 발뒤꿈치 컵도 있는데요 테이핑과 발뒤꿈치 컵을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더 빨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족저근막염 신발

족저근막염의 경우 신발만 바꿔도 증상이 많이 호전되기도 하는데요 너무 꽉 끼는 신발이나 뒷굽이 너무 낮은 신발 바닥이 얇거나 딱딱한 슬리퍼는 족저 근막염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힐을 신는 것도 발에 무리가 되어 좋지 않습니다. 

신발은 넉넉한 사이즈가 좋으며 굽이 없는 것 보다는 약간의 굽이 있는 신발을 선택하고 바닥이 부드럽고 푹신한 운동화가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어 족저근막염 통증을 완화시켜 줍니다.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

족저근막염 신발이나 보조기를 사용하고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심할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요법을 쓰게 되는데요 반복적으로 주사를 맞게 되면 근막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너무 자주 맞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상의 치료법과 더불어 등산과 달리기등과 같이 체중이 실리는 운동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으며 자전거나 수영과 같이 발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게 되면 발바닥에 무리가 오기 쉽기 때문에 체중 조절과 장시간 서있거나 발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외에도 체외충격파나 수술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보존적 치료로 90%이상 증상 개선이 가능 하지만 방치를 할 경우 더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질환이 의심되거나 증상이 보인다면 빠른 시일 내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